Career1004

hero
제약|의료기기 13년 차
현직자의 취업 실전 가이드
분류 전체보기 38

[MKT] 🌍글로벌 마케팅팀 진출 전략-로컬에서 시작해 HQ로 나아가는 전략적 사고법과 실전 준비법

✅ 왜 글로벌 마케팅팀을 목표로 해야 하는가?많은 제약 마케터들이 언젠가 한 번쯤 꿈꾸는 커리어는 바로“Global Marketing Role” 혹은 “Regional Brand Team”의 일원이 되는 것입니다.왜일까요?1. 의사결정의 중심에서 일할 수 있다 – 제품의 전략, 예산, 메시지가 HQ에서 시작되기 때문2. 다양한 시장을 경험할 수 있다 – 한국, 일본, 동남아, 유럽, 북미의 마케팅 구조와 질환 구조가 다름.3. 조직 내부 Mobility가 더 넓어진다 – 글로벌 프로젝트 경험자는 이후 포지션 선택지가 많음.4. 비즈니스 영어 + 마케팅 전략 = 커리어 차별화 – 의료 기반의 전략 커뮤니케이터로서 포지셔닝 가능.✅ 글로벌 팀에서 평가하는 3가지 핵심 역량✅ 현장감 있는 실전 사례: 한국 P..

제약 취업 준비 | 인터뷰 대비 | 이력서 노하우/Marketing, Business Development 2025.04.24
thumb

[MKT] 💼 전략형 마케터로 입문하기 위한 유일한 로드맵

면접, PT, 실무 적응까지 생존과 전략을 동시에 설계하라✅ 1. 면접관이 진짜로 평가하는 5가지 역량✅ 2. 중요한 용어, 개념부터 정확히 정리하고 가자✅ 3. 실전 면접 구성 예시▶️ 일반 질문형“MR이 의사에게 메시지를 잘 전달하지 못한다고 가정하면, 어떻게 대응하겠습니까?”“1차 예방 제품을 60대 여성 환자에게 접근할 때 주의할 점은?”답변 포인트:- Segment 세분화 → Emotional Hook 중심 메시지 설계- 디테일북 구조 변경 → 복약순응 스토리 기반 커뮤니케이션 설계▶️ Case Study 예시https://igotanoffer.com/blogs/mckinsey-case-interview-blog/case-interview-examples 47 case interview exam..

제약 취업 준비 | 인터뷰 대비 | 이력서 노하우/Marketing, Business Development 2025.04.23
thumb

[SFE]🔍 데이터로 움직이는 SFE team: 제약·의료기기 SFE 실무를 위한 툴 & 전략 총 정리

SFE 실무자를 위한 툴 마스터 가이드 1. SFE 직무와 툴의 중요성 SFE(Sales Force Effectiveness)는 제약·의료기기 회사의 영업 조직이 최대의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전략적으로 관리하는 핵심 직무입니다.SFE 실무자에게 실무 툴 활용력은 매출 기여, 조직 생산성, 경영진 신뢰도와 직결됩니다. 실전 사례: 미국계 A사: Excel로 KPI 산출 오류 → 매월 리포트 수치 엇갈림, 본사 문의 쇄도 → Power BI로 실시간 대시보드 전환 후 업무 효율 45%↑ 한국 B사: SQL 활용 미숙 → 고객 세분화 누락, 타겟 설정 미스 → CRM 데이터 통합/시각화로 신규 매출 2억 추가 확보 글로벌 C사: Salesforce 미활용 → 미팅/콜 기록 ..

제약 취업 준비 | 인터뷰 대비 | 이력서 노하우/Commercial Excellence(기획) 2025.04.22
thumb

[MKT] 수치로 증명하라: KPI 설계부터 KOL 전략, 실적 분석까지

– 데이터를 읽고, 현장을 설계하고, 성과를 관리하는 마케터의 실전 전략"마케터는 반드시 숫자를 말할 줄 알아야 한다."✅ 1. KPI는 마케팅의 '나침반'이다PM의 업무는 전술을 실행하는 데서 끝나지 않습니다.‘얼마나 효과가 있었는지’, ‘어디에 집중할지’, ‘무엇을 개선할지’를데이터 기반으로 판단해야 합니다.KPI가 없는 마케팅은 수영장이 없는 수영장 강습과 같습니다.아무리 전략이 훌륭해도 성과를 추적할 수 없다면 성공인지 실패인지조차 알 수 없습니다.📌 KPI는 단순 수치가 아니다좋은 KPI는 다음 특성을 가져야 합니다:https://www.clearpointstrategy.com/blog/how-to-set-kpi-targets How to Set KPI Targets: 9 Steps to Ac..

제약 취업 준비 | 인터뷰 대비 | 이력서 노하우/Marketing, Business Development 2025.04.22
thumb

[SFE]성과를 설계하는 전략가들, SFE팀의 모든 것 🧠📊📈

성과가 흐름이라면, 그 흐름을 설계하는 곳이 바로 SFE입니다.성과를 설계하는 전략가들, SFE팀의 모든 것 🧠📊📈> SFE팀(Sales Force Effectiveness)은 영업조직의 전략과 실행을 연결하며, 실질적인 성과를 만들어내는 제약·의료기기 업계의 핵심 부서입니다. 이 글에서는 SFE팀이 실제 현장에서 무엇을, 어떻게, 왜 하는지를 이론과 실전 사례 중심으로 깊이 있게 풀어드립니다.https://youtu.be/x08gVg9L8iE?si=p5rgbz-tm_so2psw 1. SFE란 무엇인가? 🤔SFE는 단순히 리포트나 자료를 만드는 부서가 아닙니다. 데이터로 전략을 짜고, 전략을 실행으로 연결하며, 실행의 결과를 수치로 증명하는 팀입니다. 그만큼 폭넓은 분석력, 현장 이해, 커뮤니케이..

제약 취업 준비 | 인터뷰 대비 | 이력서 노하우/Commercial Excellence(기획) 2025.04.21
thumb

[MKT] 📊 브랜드 플랜, 전략 없는 실행은 실패를 계획하는 것이다

– 이론 + 실전 + 수치 예측까지, PM의 전략 두뇌를 완성하라1. ✅ 서론: 왜 브랜드 플랜인가?제약 마케팅의 본질은 "가치를 만들어 내는 전략"입니다.그 전략의 정수이자 중심이 브랜드 플랜(Brand Plan)입니다.브랜드 플랜은 단순한 실행 일정표가 아닌, 제품의 시장 내 생존과 성장을 위한 전략적 판단과 로드맵입니다.✔ 시장을 분석하고✔ 고객을 정의하고✔ 메시지를 설계하고✔ 액션을 연결하고✔ 성과를 추적하고✔ 예산을 조정하는 것이 모든 과정이 하나의 전략 문서로 통합되는 것이 바로 브랜드 플랜입니다.📌 마케터는 ‘실행가’가 아니다. ‘설계자’다.제약 마케팅에서 브랜드 플랜(Brand Plan)은 단순한 연간 일정표가 아닙니다.그것은 “제품이 시장 안에서 어떻게 살아남고, 성장하며, 차별화할 것..

제약 취업 준비 | 인터뷰 대비 | 이력서 노하우/Marketing, Business Development 2025.04.21
thumb

제약·의료기기 회사의 숨은 핵심 부서, Commercial Excellence (CE) 팀이란?

성과를 설계하는 전략 부서의 정체를 밝히다!✅ CE 부서는 무엇을 하는 팀인가요?‘Commercial Excellence’, 흔히 줄여서 CE 부서라고 부르는 이 조직은, 이름만 들으면 막연하거나 마케팅 부서와 헷갈릴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실상은 영업 성과를 전략적으로 설계하고, 전사 조직의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숨은 사령탑 역할을 합니다.> PM이 브랜드 전략을 짜고, 영업팀이 현장에서 움직인다면, CE는 전략을 실행 가능하게 만들고, 그 효과를 수치로 증명하는 부서입니다.🔍 CE 부서의 역할 요약 CE(Commercial Excellence) 부서는 회사마다 조금씩 다르지만, 제약·의료기기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포함되거나 연계되어 운영되는 팀을 기준으로 아래처럼 확장된 구성으로 운영되기도 합니다.[확장..

제약 취업 준비 | 인터뷰 대비 | 이력서 노하우/Commercial Excellence(기획) 2025.04.20
thumb

🎯 PM은 기획자가 아니다. 시장 설계자다

포지셔닝, 메시지맵, 캠페인 설계까지 실전 구조 완전 해부📌 제약 마케팅 PM, 전략가인가 운영자인가?일반적으로 마케팅 PM을 단순히 “브로셔 기획자”, “영업 지원자”로 인식하지만,진짜 뛰어난 제약 PM은 시장 구조를 설계하고 방향성을 리딩하는 사람입니다.PM은 다음 세 가지 능력은 필수입니다:🧠 시장을 읽는 분석력🛠 포지셔닝 설계 능력🗣 이해관계자를 설득하는 메시지 구조화 능력이러한 역할 수행의 중심에 바로 포지셔닝맵(Positioning Map) 메시지맵(Message Map)이 있습니다. 이 둘은 단순한 마케팅 툴이 아닌, 의사결정과 매출을 좌우하는 실전 도구입니다.✅ 마케팅 전략은 ‘기획서’가 아니라 ‘논리의 구조’다많은 취준생과 신입 마케터는 '전략'이라고 하면 멋진 디자인의 PT 파..

제약 취업 준비 | 인터뷰 대비 | 이력서 노하우/Marketing, Business Development 2025.04.14
thumb

⚔️ PM의 진짜 일은 ‘부서 간 조율’이다.

⚔️ PM의 진짜 일은 ‘부서 간 조율’이다Medical, RA, 영업 사이에서 살아남는 협업 실전 스킬✅ 마케팅 PM은 조직 내 ‘허브’다제약 마케팅은 아이디어를 떠올리고 멋진 캠페인을 기획하는 직무처럼 보일 수 있지만,실제 업무의 70%는 '내부 부서와의 협업'입니다.그런데 협업이란, 예쁘게만 흘러가지 않습니다.“RA에서 안 된대요.”“MR팀이 또 자료 어렵다고 하네요.”“의학적으로 표현이 너무 과장이래요.”“본사에서 왜 우리 방식 이해를 못 하죠?”마케터는 부서와 부서 사이에서, 전략과 실행 사이에서, HQ와 로컬 사이에서 ‘갈등을 조율’ 해야 하는 사람입니다.이번 회차에서는 실제 현장에서 자주 겪는 충돌 상황과그걸 해결하는 실전 스킬을 사례 중심으로 소개합니다.✅ 조율 대상 ① Medical 팀과..

제약 취업 준비 | 인터뷰 대비 | 이력서 노하우/Marketing, Business Development 2025.04.08
thumb

🔍 PM이 되려면 갖춰야 할 5가지 실무 감각

숫자 말고 ‘감’을 키우는 제약 마케터의 7가지 자질✨ PM의 핵심 역량은 무엇일까?신입 마케터들이 가장 많이 하는 질문:“PM이 되려면 어떤 능력이 있어야 하나요?”정답은 단 하나가 아닙니다.‘성과’로 증명하는 직무인 만큼, 문제 해결력이 전부입니다.하지만, 실무에서 두각을 드러내는 PM들은 공통된 7가지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.1️⃣ 시장을 구조적으로 ‘해석’하는 힘 (Market Structure Thinking)- 좋은 PM은 제품이 아니라 시장 전체를 먼저 봅니다.- 시장 크기(Market Size), 진단률, 치료율- 환자 Journey- 경쟁사 점유율 구조예시 1:고혈압 시장에서- 전체 성인 인구 중 고혈압 유병률은 약 29%- 그 중 진단받은 사람은 65%- 처방 유지율은 40% 미만→ 단..

제약 취업 준비 | 인터뷰 대비 | 이력서 노하우/Marketing, Business Development 2025.04.02
thumb
1 2 3 4